'공돌이'에 해당하는 글 2건


공학과 수학은 다르다.

공학과 수학은 다르다. 많은 이들이 보기에는 이 두개가 같아 보일지도 모른다. 난해한 수식, 뭔가 알아들을 수 없는 소리. 물론 그 결과물은 유용하고 도움이 되는 경우가 많다는 것을 알지만 이 두 개는 보기에는 엇비슷해 보인다. 공학책을 펼쳐보면 온통 수식 뿐이니 그렇게 보일만도 하다.

공학은 분명히 수학을 수단으로 사용하고 수학을 근간으로 하고 있다. 하지만 언급하고자 하는 바는 공학과 수학의 철학이 다르다는 것이다. 수학의 철학을 논할 자신이 없으니 그건 제외하도록 하고 그렇다면 공학의 철학은 무엇인가?

공학은 오로지 쓰기 위한 학문이다.

장영실이 만든 시계인 자격루를 기억하시는가? 화려함의 극치를 보여주는 물건이다. 이 물건이 동작하는 원리는 분명히 수학이지만 수학은 이 시계를 만드는 근본 원리로써 사용되었다. 즉 물건을 만들기 위한 공학의 도구로써 수학이 사용된 것이다.

공학은 철저하게 쓰기 위한 학문이고, 대학때 교수님께서 간단한 말씀으로 이걸 표현하신적이 있다.

"공학에서는 마진이라는게 있다. 예를 들어 마진이 30%로 간주된다면 0.8까지는 1인것이다. 수학에서는 0.8은 0.8이고 1은 1이지만 공학은 그렇지 않다."

쓰기 위한 학문에서는 한치 없는 오차로 동작한다는 것은 기대하기 어렵다. 그래서 처음부터 여유를 두어서 설계하고 여유안에서는 충분히 동작할 수 있도록 해둔다. 예를 들어 휴대폰은 전파가 약해지거나 간섭하는 전파가 많아질 경우, 음질을 희생하더라도 통화를 할 수 있게 해두었다. 휴대폰의 목적은 통화이지 음질이 아니기 때문이다. 음질은 곁다리 메뉴일 뿐이다. 음질은 좋지만 두번에 한번밖에 안걸리는 전화와 100% 걸리지만 80%쯤 음질이 안 좋은 휴대폰중 어느쪽을 고르겠는가?

공학은 공돌이들만의 학문이 아니다.

공돌이가 사업을 해서는 말아먹는다는 이야기를 종종 듣는다. 물론 드물게 성공하는 경우도 있지만 보면 마인드가 제약적이거나 고만고만한 경우가 많다. 전문 경영 CEO를 영입하여 회생하는 경우를 종종 목격한다.

공학은 공돌이들만의 학문은 아니다. 하지만 이를 뒤집어 말하면 공돌이는 공학만 해서는 안된다는 이야기도 성립할 수 있다. 물론 역명제가 늘 진리인 것은 아니지만 우리나라 IT 쟁이들은 거기에 얽매여 있는 것 같아서 안타까울 때가 많다. 자신이 얼마나 많은 스킬을 가지고 있고 남들이 못하는 것을 자신이 할줄 안다고 자랑을 한다. 날밤 꼴딱꼴딱 새고 준비했으니 알아달라고 한다. 이번 마이크로소프트 발표회때도 행사 준비 하는데 밤새웠으니 알아달라고 자랑을 했다. 글쎄.. 정말 세련된 발표회였다면 그런 이야기를 했을까? 정말 중요한 바이어였다면 그런 이야기를 했을까? 그 전날에는 집에 들어가서 충분히 휴식도 취하고 일부 스텝을 제외하고는 모두 세련되게 옷도 깔끔하게 입고 최선의 옷을 다해서 나왔을 것이다. 대통령이 방문하는 날에는 IT 업계쪽이나 연구원쪽에서도 모두 양복입고 나오지 않던가? 평소에는 편하고 털털하게 다니던 사람들도 모두 정장을 입고 나온다. 쓰기 위한 학문은 본래 사업을 위한 것임을 본연중에는 다 알고 있는 것이다. 협상에 방해가 된다면 쓸데없는 언급을 해서 판을 망쳐서는 안된다.

하지만 우리나라는 그러한 점들이 잘 잊는듯하다. 우리나라에서 IT 개발자들은 단명하는 직종이고, 천민 직종이라고도 한다. 외국에서는 고액 연봉을 받으면서 매해 경력을 쌓아서 전문가가 되지만 우리나라는 그렇지 않다. 최근에 외국에서 발행된 전자 엔지니어 등의 잡지 등에 기고한 외국 전문가들의 글을 보면서 감탄하는 경우가 많다. 너무 공돌이 스럽게 쓴 글도 많지만 그보다 사업적인 견지에서 자신의 지식을 적절한 요소에서 잘 활용하면서 매끄럽게 쓴 글들을 많이 보기 때문이다. 사실 그 글 자체가 놀랍다기보다는 우리나라의 임베디드 월드 등에 기고된 글을 보면 역으로 개탄스럽기 짝이 없다. 우리나라에서 세련되게 그런 글들을 쓸줄 아는 사람들은 한정되어 있다. 일선의 개발자들은 그저 스킬을 쌓는데 주력한다지만, 그저 기술에서도 한정된 영역에서 잡다하게 쌓고 있을 뿐 정말 쓰기 위한 스킬을 세련되게 쌓지 못한다. 일시키는 데도 문제가 있어서 이일 했다가 저일 했다가 잡다하게 할뿐, 총체적으로 한 분야에서 깊이 있게 쌓아올리는 경우는 참 드물다.

이제는 공돌이가 스스로 일가를 이루어야 할 때

이젠 공돌이들이 세련되어져야 할 때가 왔다. 언제까지 비전공자들 아래에서 장기말로만 쓰일 것인가? 공학은 그 전공자가 제일 잘 안다. 제일 잘 아는 사람이 제일 잘 쓸 수 있는 것은 당연지사이지만 어디에 어떻게 써야 하는지는 배우지 못했다. 이 부분은 누가 시켜서 배우는 것이 아니라 스스로 채워나가야 하는 부분이다. 비지니스적인 마인드나 사교적인 부분 또한 마찬가지이다.



WRITTEN BY
가별이
내가 천사의 말 한다 해도

,
제안서, 보고서, 발표자료 이런 것들만 쓰다보니 점점 말을 길게 쓰는게 귀찮아지고 있습니다. 그냥 필요한 말만 간결하게 쓰고 말아버리게 된달까요?

예전에 들은 이야기입니다만 공돌이들이 다른 과의 교양 수업을 들으러 가면 점수가 낮게 나온다는군요. 시험을 치면 문제에 대해서 공돌이들은 핵심적인 말만 2-3문장으로 끝내고 시험지 던지고 나오는데, 다른과의 학생들은 질문 하나에 답을 반페이지씩 길게 적다보니 점수를 못 받는다는거죠. 저는 그래도 제 딴에는 말을 길게 쓴다고 그 당시에 썼습니다만 그래도 학점 안나오는건 여전했지만요. (실은 출석일수가 꽝)

암튼 그래도 나름 감성이 있다고 생각했는데 날이 갈수록 글 쓰는게 귀찮아지고 있습니다. 문제는 이 현상이 블로그에도 이어지는게 탈이라는거죠. 블로그의 글들이 사진이나 그림을 넣지않고 순수하게 글로만 쓸 경우 그리 길어지지 않네요. 길게 쓴답시고 쓴게 모니터로 봐서 한페이지에서 그걸 조금 넘는 분량이네요. 뭐 하긴 이렇게 길고 짧고 비교하는 것도 길게 주욱 풀어서 글을 잘 쓰시는 분들을 보고 질투하는 것일지도 모르겠지만요.

암튼 이번주에는 제안서 하나 썼고, 특허 사전 심시 신청서 썼고, 오늘은 발표자료를 만들어야 합니다. 월요일날 이번주에 썼던 제안서에 대해서 발표를 해야 하거든요. 오후에 원래 있던 양식에다가 제안서에 있는 걸 긁어서 붙일 생각인데 이것도 귀찮네요. 왠지 공을 들이기 싫달까요. 겉으로 보이는 디자인도 중요하다는걸 알지만 갈수록 간결하고 심플하게~ 기능만 넣자라는 컨셉이 머리를 꽈악 지배하고 있어서 말이죠.

WRITTEN BY
가별이
내가 천사의 말 한다 해도

,